Recent Posts
Recent Comments
반응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믿음
- 사복음서
- 예수님재림
- 예수님의비유
- 향유옥합
- 기도
- 사복음서연구
- 회개
- 창세기연구
- 성경연구
- 성화
- 열두지파
- 십계명
- 경험적인믿음
- 악한종
- 성경공부
- 성령
- 누가복음19장
- 마태복음24장
- 그리스도인생활
- 누가복음15장
- 팔복
- 탕자의비유
- 막달라마리아
- 열처녀의비유
- 종말
- 간음한여인
- 창세기2장
- 마태복음25장
- 요한계시록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양치는목자 (1)
엠마오 가는 길: 바른 성경연구

시작하는 말 지난 글에서는 "가인의 잘못된 예배"에서 시작하여 "메소포타미아 문명 - 수메르의 일곱 도시 - 바벨론 - 그리스 - 로마"로 이어지는 이교 사상; 즉, 태양신을 비롯한 행성신 숭배사상의 역사적 근거들을 설명했으며, 또한 그 개념에 따라 현재의 요일제도가 탄생했고, 마침내 각 행성신 중에서 토성신을 숭배하며 기념하는 절기인 "사투르누스 축제"가 일년 중에 마지막 달인 12월에 있었으며, 그 절기의 중심 사상인 죽음과 부활(동지), 풍요로운 수확, 그리고 자유의 개념을 기독교의 진리인 출애굽 사건과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과 섞어서 크리스마스가 탄생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 로마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의 정치-종교 통합 정책이 큰 역할을 하였으며, 나중에는 태양신(행성..
bible n culture [성경과 문화]
2022. 12. 14. 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