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그리스도인생활
- 창세기연구
- 사복음서
- 열두지파
- 기도
- 성경연구
- 십계명
- 마태복음25장
- 성경공부
- 팔복
- 회개
- 성화
- 악한종
- 종말
- 성령
- 간음한여인
- 창세기2장
- 막달라마리아
- 누가복음15장
- 예수님재림
- 탕자의비유
- 향유옥합
- 요한계시록
- 믿음
- 마태복음24장
- 예수님의비유
- 누가복음19장
- 경험적인믿음
- 사복음서연구
- 열처녀의비유
- Today
- Total
목록parables of Jesus [예수님의 비유] (17)
엠마오 가는 길: 바른 성경연구

시작하는 말 지난 「스스로 속이는 신앙」 시리즈의 두번째 글에서는 악한 종의 신앙상태와 그런 신앙을 가지게 된; 즉, 하나님과 그분의 율법을 잘못 이해하고 바라보는 그런 믿음의 상태를 가지게 된, 그 과정을 알아보았다. 악한 종; 즉, 한 달란트 받은 종은 주인의 마음과 명령(하나님의 말씀과 계명; 율법)을 잘못 이해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부족한 믿음에 기초하여 주인을 판단했다. 그리고, 그 이유는 악한 종이 달란트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전혀 인지하고 있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성경적인 "달란트"의 의미는 무엇인가? 고린도전서 12장에서는 달란트를 "각 사람에게 성령의 나타나심을 주(고전12:7)"신 것이라고 정의내리고 있다. 그러나, 악한 종은 하나님께서 주신 재능을 단지 자신의 것이라고 생각했고, 달란트..

시작하는 말지난 「스스로 속이는 신앙」 시리즈의 첫번째 글에서는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종"에 대한 비유들(마태복음 24장,25장; 누가복음 19장)을 살펴보면서 미련하고 악한 종이 주인에 관하여 가지고 있는 생각과 태도에 관하여 알아보았는데, 특히, 마태복음 25장의 달란트의 비유에 등장하는 한 달란트 받은 종이 주인에게 어떤 말을 하는지를 통하여 악한 종들의 생각을 깊이 알 수 있었다. 악한 종은 주인이 "굳은 사람"이며, "심지 않은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 데서 모으"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 의미는 곧 악한 종은 자신의 주인을 "쓸데 없이 엄하고, 투자에 인색하며 타인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그래서 키질을 하지도 않고 알곡을 모으려고 하는 파렴치한 인물"로 바라보고 있었다는 것이다...

시작하는 말최근 기회가 닿아서 여러 명의 전,현직 목회자 분들을 만날 기회가 있었다. 그 중에는 내가 전도사 시절에 나를 많이 아껴주셨던 분들도 있었는데, 그분들과 대화를 이어나가던 중에 직업병처럼(?) 자연스럽게 현재의 전 세계의 동향과 성경 다니엘서와 요한계시록에 기록된 예언 및 마태복음 24장의 예수님의 말씀을 주제로 대화를 나누게 되었다. 목사님들의 대화 중에서 한 가지 공통적인 의견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20년 전, 10년 전, 5년 전, 그리고 지금 2024년의 그리스도인 청소년들이 교회 안에서 어떤 모습들을 보이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었다. 모든 전, 현직 목사님들이 하나같이 말씀하신 것은... 교회 밖은 말할 것도 없고, 오늘날 교회 안의 청소년들의 마음과 생각, 및 행동이 보여주는 것은..

시작하는 말 지난 「탕자의 비유」 연구 시리즈의 여섯 번째 글에서는 이 비유 속에 등장하는 주변인물들 중에서 누가복음 15장에 기록된 성경구절을 바탕으로 아버지 집의 종들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충성된 종과 악한 종의 특징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지난 연구의 중심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① 누가복음 15장에서 탕자는 아버지의 집으로 다시 돌아갈 결심을 하면서, "품꾼; 즉, 삯꾼"으로 받아달라고 아버지께 말씀드릴 것이라고 고백한다. 탕자가 스스로를 지칭할 때 사용한 "품꾼"이라는 단어의 헬라어 어원과 사복음서에 등장하는 "삯꾼"이라는 단어의 헬라어 어원은 동일하게 "μισθός(미스도스; 3408)"이며, 이 단어의 의미는 "품삯, 보응, 삯, 보상, 보수"이다. 그리고, 이 사실을 통해 확인할 ..

시작하는 말 지난 「탕자의 비유」 연구 시리즈의 다섯 번째 글에서는 이 비유 속에 등장하는 주변인물들 중에서 누가복음 15장에 기록된 성경구절을 바탕으로 아버지의 첫째 아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아들의 면면을 확인해 본 결과 아래와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① 첫째 아들은 아버지의 집을 떠나지 않고 열심히 일했다. 그러나, 그의 노력과 봉사는 자신을 아버지의 아들이라 여기지 않는 봉사였고, 종으로써의 봉사였다. 그는 아버지의 아들됨을 온전히 누리지 못했다. 누가복음 15장 28~30절에서 드러난 첫째 아들의 말 속에 사용된 단어인 "섬겨(δουλεύω; 둘류오)"와 "살림(βίος; 비오스)"의 원어적 의미를 통하여, 첫째 아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취급했는지, 그리고 첫째 아들이 자신의 아버지..

시작하는 말 지난 「탕자의 비유」 연구 시리즈의 네번째 글에서는 이 비유 속에 나타난 탕자의 회개와 돌이킴이 베드로의 회개, 그리고 그의 고백과 닮아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그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성화의 과정 속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그리스도인의 마음의 변화(품성의 변화)가 어떤 것인지를 함께 알아보았다. ● 지난 글의 내용을 잠시 요약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① 베드로는 예수님의 부름을 받고 제자가 되었지만, 예수님께서 경고하신 바리새인들과 사두개인들의 누룩(외식하는 신앙; 이기심의 정신)을 배워버렸다. 그래서, 원래 나서기를 좋아하는 성격에 이기적인 신앙까지 더해져서 예수님의 말씀과 기적들을 보고도 "우리가 모든 것을 버리고 주를 따랐사온대 그런즉 우리가 무엇을 얻으리이까(마19:27)"라고 예수님께 ..

시작하는 말 지난 「탕자의 비유」 연구 시리즈의 세번째 글에서는 이 비유 속에 나타난 탕자의 회개가 어떻게 참된 예배와 관련이 있으며, 또한, 성령 하나님의 도우심과 예수님의 보혈을 통하여 생기는 참된 회개와 재창조(구원)의 과정이 바로 예수님께서 십계명을 풀어 설명하신 마태복음 5장의 팔복 속에 드러나 있음을 살펴보았다. ● 지난 글의 내용을 잠시 요약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① 탕자의 회개의 근원은 아버지의 사랑이었으며, 그의 아버지의 사랑이 그의 마음에 변화를 가져왔고, 그것이 바로 참된 회개의 기초이다. ② 참된 회개란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에 반응하는 것이며, 죄의 시초인 사탄이 두렵거나 또는 죄의 결과가 두려워서가 아니라, 우리 마음 속 깊이 자리를 잡고 있는 죄 자체의 심각성, 그리고 우리의 ..

시작하는 말 지난 「탕자의 비유」 연구 시리즈의 두번째 글에서는 이 비유의 주제; 즉, 가시적인 주제와 숨겨진 주제 두 가지를 살펴보았다. ● 지난 글의 내용을 잠시 요약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① 탕자의 비유를 포함하여 누가복음 15장에서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잃어버린 것들에 대한 세 가지 비유의 전체적인 주제는 모두 "하나님을 떠나 곁길로 나간 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동정(Compassion)이 넘치는 사랑(ἀγάπη: 아가페)"이다. ② 탕자의 비유의 두번째 주제; 즉, 숨겨진 주제 중에서 첫번째는 바로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사람의 반응"이다. 이것은 구약성경부터 신약성경의 요한계시록에 이르기까지 성경의 전반적인 흐름과 동일한 것으로써, 성경에 등장하는 두 가지 예언(언약)의 종류인 '묵시적 예언'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