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요한계시록 (7)
엠마오 가는 길: 바른 성경연구
시작하는 말 지난 「우리는 지금 분명히 "마지막 시대"에 살고 있다」 시리즈의 첫번째 글에서는 마지막 때에 대하여 예수님께서 마태복음 24장에서 말씀하신 내용을 토대로 아래의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① 마태복음 24장과 25장의 중심주제 ② 예수님께서 직접 마지막 때 발생하게 될 일들과 구약의 예언서인 다니엘서를 연결하심 ③ 마태복음 24장과 25장에서 언급하신 인자의 임하실 때의 일들을 좀 더 자세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가장 오래 살아있던 막내 제자인 사도 요한에게 기록하라고 알려주신 책이 바로 요한계시록임 ④ 비공식적이지만, 성경에 등장하는 6+1원칙과 지구의 역사 ⑤ 예수님 재림 이후에 어떤 일들이 일어날 것인지에 관하여 요한계시록에 기록된 말씀 오늘은 「우리는 지금 분명히 "마지막 시대"에 살고 있다..
시작하는 말: 지금 이 시대는 어떤 시대인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2023년은 어떤 때일까? ● 예수님께서 직접 말씀하신 "마지막 때(인자의 임하실 때)"의 물리적 징조들 기본적으로 마태복음 24장은 25장과 연결되어 있으며, 마태복음 24장의 구조는 첫째, 3절부터 36절까지는 예수님께서 3번씩 각각 반복해서 말씀하신 "주의 임하심과 세상 끝"에 일어나게 될 「물리적인 징조」와 「비물리적(영적) 징조」, 그리고 「(성도들의 선택에 따라) 성도들에게 발생할 일들」을 포함하며, 또한, 둘째, 24장 37절 이후에는 예수님의 말씀의 톤이 조금 바뀌면서, "노아의 때(노아의 방주 = 하나님의 십계명이 들어 있는 언약궤)"를 "인자의 임하실 때"와 비교하여 말씀하시고, 그 이후에 구원받고 구원받지 못하는 "..
시작하는 말: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구조 요한계시록은 예수님의 말씀이고, 예수님의 재림과 이 세상의 재창조를 목표로 둔 시대적 예언이다. 또한, 요한계시록을 통하여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볼 수 있다. 즉, 요한계시록의 주제는 바로 예수 그리스도인 것이다. 그래서, 요한계시록의 구조를 예수 그리스도 중심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하나님께서는 요한계시록의 각 부분마다 예수 그리스도를 보여주신다. 아래의 표에는 예수님을 중심으로 요한계시록을 구분하고 있다. 첫째, 대제사장의 직무를 행하시는 예수 그리스도 둘째,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 셋째, 승리하시는 그리스도 또한, 이 구조는 마태복음 24장 3절에서 제자들이 예수님께 했던 질문; "어느 때에 이런 일; 즉, "예루살렘 성..
시작하는 말 지난 요한계시록 연구에서는 하나님께서 당신의 마지막 제자인 사도 요한에게 이상을 보여주셔서 기록하게 하신 요한계시록은 마태복음 24장의 제자들의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명확한 대답으로 주신 것이라는 것을 성경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잠시 복습을 하면 아래와 같다. 예수님께서는 마태복음 24장에서 제자들이 질문한 "두 가지의 때"에 대하여, 그 때에 일어날 사건들에 관하여 한 목소리로 말씀하셨다. 첫째는 예루살렘의 멸망에 대하여...(당시, 임박한 끝) 둘째는 이 지구의 종말에 대하여...(현재, 임박한 끝) 그리고 그것에 대한 대답이 바로, "요한계시록"이다. 오늘은 예수님께서 사복음서를 통하여 주신 두 가지 약속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약속들이 어떻게 요한계시록과 연결되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
다른 사람이 성경에 대하여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배웠는지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 마지막 하나님의 심판 앞에서는 누구나 다 하나님 앞에서 자신에 대해 명백히 설명해야 한다. 그러므로 각자는 진리가 무엇인지 오늘날 배우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지식적인 성경지식은 우리 삶 속에서 경험적 지식이 되어야 한다. 시작하는 말 안녕하세요? 『엠마오 가는 길: 바른 성경연구』 의 폴입니다. 요즘 여러분의 "성경연구"는 어떠신가요? 성경을 통독하는 많은 분들이 있고, 또한 성경을 통독하는 것만으로도 성도에게 주는 큰 영적 이익이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과 동시에 성경에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구해야 할 책임도 역시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사도행전 17장 11절]..
하나님께서는 한 입으로 두 말하시는 분이 절대 아니다! 성경은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 한 말씀을 하고 계신다. 그렇기 때문에 성경을 연구할 때는, 성경의 한 부분만을 가지고 연구해서는 안되며, 성경 전체를 하나의 연결된 책처럼 생각하고 연구해야 한다. 예를 들면, 요한계시록을 연구하려면, 요한계시록이 100번이 넘게 차용하고 있는 구약성경의 상징들을 연구해야 하며, 또한, 예수님의 이 땅에서의 활동의 기록인 사복음서, 구약 성경의 예언서인 다니엘서, 그리고 현재 예수님께서 어디서 무엇을 하고 계시는지를 명확하게 알려주는 히브리서 역시 함께 연구해야 한다. 시작하는 말 성경을 읽어보면, 제자들이 예수님께 여러가지 질문들을 하는 것을 여러 곳에서 읽을 수 있는데, 미래에 대한 질문을 한 것은 거의 발견할 ..
[베드로후서 1장 19~21절] 또 우리에게 더 확실한 예언이 있어 어두운 데 비취는 등불과 같으니, 날이 새어 샛별이 너희 마음에 떠오르기까지 너희가 이것을 주의하는 것이 가하니라. 먼저 알 것은, (성)경의 모든 예언은 사사로이 풀 것이 아니니, (왜냐하면,) 예언은 언제든지 사람의 뜻으로 낸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의 감동하심을 입은 사람들이 하나님께 받아 말한 것임이니라.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 구약성경은 39권으로 되어 있으며, 약 30여명의 저자가 기록하였고, 신약성경은 27권으로 되어 있으며, 약 8명의 저자(마태,마가,누가,요한,바울,야고보,베드로,유다)가 기록하였는데, 모든 구약과 신약 성경의 66권이 정경으로 인정받게 된 것에는 당연히 하나님의 역사가 임하셨다고 생각되며, 또한,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