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03)
엠마오 가는 길: 바른 성경연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L0Co/btspmVnOLju/Y3dOAOChCDTlmoQ4mWpoQk/img.jpg)
시작하는 말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으로 창조되어 하나님의 안과 밖을 모두 닮도록 의도된 사람의 창조(창세기 1장 26~27절)는 이제 막 창조된 당시의 지구를 하나님을 대신하여 하나님의 뜻대로 다스릴 대표자로써의 축복과 사명을 부여하는 것(창세기 1장 28절)으로 완성되었으며, 사람에게 자유의지를 주셔서 스스로 하나님의 복과 사명을 판단하고 올바른 쪽으로 생각하여 행동할 수 있도록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기본적인 원칙; 즉, 하나님의 율법,을 행동으로 표현하며 이해할 수 있게 「안식일」과 「결혼」을 주셨다. 안식일은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며, 또한 하나님의 사랑의 창조를 인정하고 하나님을 사람의 창조주로 받아들인다는 하나의 표징이었으며, 또한 하나님의 창조의 과정에 이미 포함된 것; 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PFed/btsn1aNs2wJ/EkeVAmwY9sYOogqX1C9j10/img.jpg)
시작하는 말: 하나님의 창조의 메커니즘과 재창조(구원)의 방법은 같다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책의 시작을 알리는 창세기 1장 1절과 2절이 "창조의 주체이신 하나님의 신분"과 "삼위일체의 진리"를 나타내고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면, 창세기 2장 7절은 하나님께서 어떻게 인간을 창조하셨는지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몇 가지 사실들을 제시하며, 그것을 통하여 인간의 생명의 근원을 이해시켜주는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창세기 1장 1~2절은 요한복음 1장과 더불어 삼위일체의 명확성을 보여주는데, "태초에 천지를 창조하"실 때에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께서 모두 개입하셨다는 사실은 성경 전체의 구원론, 믿음생활, 예수님 재림의 소망, 부활의 소망, 하나님의 율법(계명)등의 모든 진리의 밑바탕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UHI8/btsmJDaKS6B/cFpmGlmsXBpEk6l0y1qTVK/img.jpg)
지난 시간 복습 1. 창조의 시작과 마무리 지난 시간에는 창세기 2장 4절 전반부에 기록된 "내력"이라는 단어의 히브리어 "톨레다"의 어근이 "얄라다"로써, 그 의미가 "(어미새가)알을 낳다"는 뜻이며, 이는 곧 창세기 1장 2절에 기록된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의 "운행"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라하프(뜻: 알을 품다)"와 대구가 되는 단어임을 확인하였다. 즉, 하나님께서는 창조의 시작과 끝을 마치 "어미새가 알을 낳고 품속에 돌보았다가 새 생명을 탄생시키는 모습"과 같이 나타내신 것이고, 이것은 천지 창조가 하나님의 사랑의 결과로써 이루어진 것임을 나타낸다. [창세기 1장 2절]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창세기 2장 4절 전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zZ65/btslUNFcVvn/LyxH5rvWTvBb8at1ZJYOck/img.png)
시작하는 말 세상에는 많은 부류의 그리스도인들이 있다. 그 중에서 성경을 읽고, 연구하는 측면에 있어서 네 가지 부류의 사람들이 존재한다. 첫째, 남에게로부터 전해받은 말씀을 자신이 스스로 성경을 펼쳐서 확인하고 믿는 사람 둘째, 남에게로부터 전해받은 말씀을 자신 스스로가 성경과 비교하여 확인하지 않고 그냥 믿는 사람 셋째, 성경의 기준에 따라 성령의 도우심을 간구하며 말씀을 연구하여 전하는 사람 넷째, 성경의 진리에 자신의 생각이나 세상이 요구하는 어떤 메시지를 추가해서 전하는 사람 과연, 여러분은 어떤 사람인가? 이 블로그에서도 여러 번 강조하였지만, 스스로의 연구가 아닌 다른 사람으로부터 설교나 성경공부 등을 통하여 하나님의 성경말씀을 들었다면, 여러분은 분명 여러분 자신 스스로 들었던 말씀에 대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GQqV/btskJrqtARH/SPK1BNlasaNZekJMAK0p8K/img.jpg)
1. 시작하는 말 많은 사람들은 창조의 클라이맥스는 6째 날의 창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창조의 전체 과정이 6일째 마쳤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것은 성경이 기록하는 진리가 아니다. 성경은 분명하게 하나님의 창조의 과정이 모두 7일에 걸쳐 일어났으며,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창조의 과정은 2가지로 나뉜다는 사실을 기록한다. 첫째는 제6일 동안의 물질적인 창조이며, 또한, 둘째는 제7일의 비물질적인 창조이다. 앞에서도 다루었지만, 하나님의 창조의 원리는 “물과 성령”이다. 그리고 창조의 전반적인 과정을 보았을 때, “나누시고 채우시는” 과정을 볼 수 있다. 또한, 인간을 창조하신 방법도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그 코에 생기를 불어 넣으”심으로써 창조의 “나누시고 채우시는” 전반적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qJWcL/btsi60G00uT/DzID515If76Noaz3EDLK3k/img.jpg)
01 창세기 2장 7절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루아흐: 생기,숨,호흡,생명력)를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된지라 02 로마서 5장 12절 이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 03 전도서 9장 5절 무릇 산 자는 죽을 줄을 알되 죽은 자는 아무 것도 모르며 다시는 상도 받지 못하는 것은 그 이름이 잊어버린 바 됨이라 04 시편 115편 17절 죽은 자가 여호와를 찬양하지 못하나니 적막한 데 내려가는 아무도 못하리로다 05 시편 146편 4절 그 호흡이 끊어지면 흙으로 돌아가서 당일에 그 도모(에쉬토나: 생각)가 소멸하리로다 06 전도서 12장 7절 흙은 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b3C5/btsiQI9ve9X/jCn4QZ9VMuGIekBfmAwKpK/img.jpg)
성경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성경구절 성경책은 이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베스트셀러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리스도인 뿐만 아니라, 하나님을 믿지 않는 많은 사람들도 성경책 속에서 지혜를 구하고, 그들의 인생의 걸어나갈 향방을 밝히 깨닫기를 원한다. 그러한 성경말씀들 중에서 이 지구의 역사 속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성경구절 「TOP 5」를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NO. 5. [창세기 1장 1절]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NO. 4. [빌립보서 4장 13절]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 NO. 3. [로마서 8장 28절]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NO. 2. [예레미야 29장 1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1RLU/btsiNaq5wuD/ZQcopRxC7Qe0dezhiDUrf0/img.jpg)
*본 에세이는 세계 3대 석학인 노암 촘스키 박사의 "실패한 교육과 거짓말"을 읽고 작성한 것으로써, 몇 년 전에 네이버 블로그에 올렸던 것을 수정하여 다시 적는 것입니다. *이 블로그는 어떤 정치적인 성향도 띄지 않으며, 또한, 이 블로그에 글을 주로 적어 올리는 블로그 주인장도 역시 오직 성경에만 입각한 발언과 성경의 주장만을 관철하는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 언급되는 "보수주의"나 "진보" 등의 단어들은 전혀 정치적인 의미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오직 글의 핵심 소재인 "비판적 사고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한 단어; 즉, 표현적인 "도구"에 지나지 않음을 밝힙니다. A. 서론 (1) 소재와 주제 "비판적 사고방식"은 정말 나쁜 것인가? 대한민국 사람들은 발생된 어떤 행동과 결과에 대해서, ..